🧑💼 About
Paul(Hansol Ryu)
Be Insightful Engineer.
종합적, 효율적, 효과적인 창조를 지향하는 개발자 류한솔(Paul)입니다.
백엔드 개발자로서 안정성과 확장성, 그리고 신속성을 최우선시 합니다.
AI 기술을 활용해 비용 최적화, 생산성 향상, 서비스 목적에 최적화된 서버 개발과 관리,
나아가 AI를 접목한 서비스의 최적의 배포를 가장 핵심으로 삼고 있습니다.
🔍 현재 집중하는 영역
- Jenkins 기반의 무중단 배포의 CI/CD 파이프라인 설계 및 표준 템플릿 구축
- LLM 및 RAG 기반을 활용한 챗봇 구현
- FastAPI의 비동기 특성을 활용한 고성능 API 서버 설계 및 최적화에 대한 고민
- n8n 기반의 자동화 서비스 구축
- 쿠버네티스 기반의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MSA) 설계 및 운영 자동화
- AWS, GCP, Azure 의 AI서비스들의 이해와 어플리케이션 수준의 AI 컴포넌트 구현
🏆 Achievement
- 구글 창구 7기(2025.04) | 1위 | 핑크퐁과 잼잼 친구들(가칭)
👷 직무 경험
- 잼잼 테라퓨틱스(Gemgem Therapeutics) | AI 백엔드 개발자(2024.06 ~ 2025.07)
장애 아동 치료를 위한 AR 및 AI 서비스 개발 및 최적화, 일반 서버 및 AI 서버 설계 및 운영, 국가 과제 수행 - Project "Peer web Application" | Team Leader(2023.05 ~ 2024.02)
개발자 커뮤니티, AI 기반 매칭 시스템을 포함한 프로젝트 매칭 플랫폼 개발 팀 리더로 활동 - 42 Seoul | Caddet(2021-11-08 ~ 2023.10.30)
42 서울 캠퍼스, 기초 개발자 코스 이수(C ~ 웹 서비스 개발)
🎯 핵심 프로젝트
ML을 기반으로 하는 자세 인식 AI 기술을 활용한 장애 아동 재활치료 게임의 AI, 운영 서버 및 인프라의 메인 개발 및 관리를 하였습니다.
2. 역할 및 핵심 성과
비용 최적화: AWS 인프라 및 서비스 특성을 분석하여 서버 운영비용을 최대 40% 절감하였습니다.
서버 개선: 테스트 및 레거시 서버 리펙토링, 신규 기술 도입을 통해 API 서버 반응속도 10배 개선, 기존 운영비용으로 최대 2배 이상의 동시 접속 및 안정성을 확보하였습니다.
개발 효율성 개선: Jenkins 를 기반으로 하는 클라이언트 빌드 시스템 구축 및 관리, 서버들에 대한 G/B 전략의 무중단 배포를 AWS기반으로 재구축하였습니다. 모든 CICD 절차를 빌드 및 NestJS 프로젝트에 통합하여, 기존 대비 안정성 및 개발 속도, 배포 속도에서 월등한 개선을 달성하였습니다.
3. 적용 기술 스택: TypeScript, NestJS, Python, AWS (EC2, S3, ASG, ELB, LaunchTemplate, EKS, ECR, Lambda 등), Docker, Jenkins, Redis, MongoDB, BullMQ
[작업 내역 보기]
🙆🏻♂️ 기술 스텍
ALL 항목으로 전체 내용을 보실 수 있습니다.
객체지향 언어(C++, Java, TypeScript)를 통해 SOLID 원칙과 클린 코드 작성에 대한 감각을 발전시켜왔습니다.
객체지향적 사고를 바탕으로 유지보수성과 확장성, 무엇보다도 스케쥴을 고려한 코드 작성에 익숙합니다.
미들웨어, 인터셉터, 필터, 커스텀 파이프 등 NestJS의 라이프사이클 훅 전반을 활용한 구조적 설계 경험이 있습니다.
로거, 인증, 예외 처리 로직, 트랜잭션 관리 미들웨어 등을 모듈화하여 자체 래핑 구조로 구성한 경험이 있습니다.
또한 자동화 도구를 활용하여 서비스 내에 필요한 기능의 효율화와 체계화를 담당하였습니다.
데이터의 크롤링, 가공 등 다양한 도구를 사용한 경험이 있습니다.
🗂️ 2025.09 ~
🗂️ 2024.06 ~ 2025.07
🗂️ 2022 ~ 2024
AI 기반 매칭 시스템과 커뮤니티 기능을 갖춘 개발자, 디자이너, 기획자 매칭 플랫폼
Spring, MongoDB, MySQL, Redis, Socket 등
테크 리더 및 백엔드 개발리더
17인 프로젝트
[레포지터리 보기]
풀스택으로 SPA 방식 및 실시간 게임 기능을 포함한 서비스
NextJS, NestJS, SPA 방식, Full-Stack, SocketIO 등
팀 리더 및 백엔드 개발자
5인 프로젝트
[레포지터리 보기]
[후기글 보기]
Docker Compose 를 기반으로 한 WordPress 서비스 구축 프로젝트
Docker Compose, MariaDB, Debian, Nginx
1인 프로젝트
[레포지터리 보기]
[후기글 보기]
라우팅 테이블, IPv4, IPv6, 스위치 등 네트워크 관련 지식을 활용한 네트워크 노드 구축 미니 프로젝트
-
1인 프로젝트
[레포지터리 보기]
[후기글 보기]
그래픽스 라이브러리를 활용하여 3D 구현 방법을 이해하고, 이를 기반으로 Doom like 게임을 구현해 본다.
C, MiniLibX
팀원
2인 프로젝트
[레포지터리 보기]
뮤텍스와 세마포어를 활용한 멀티 스레딩, 멀티프로세싱을 이해하고 전략적 자원 사용 방식을 통한 최적화된 로직 구현 프로젝트
C
1인 프로젝트
[레포지터리 보기]
[후기글 보기]
MiniLibX 라는 그래픽라이브러리를 활용하여 2D 기반의 스트라이프 방식의 게임을 구현하는 프로젝트
C, MiniLibX
1인 프로젝트
[레포지터리 보기]
[후기글 보기]
가장 기본적인 VM, 가상화 도구를 활용하여 리눅스 서버를 구축하고, 포트포워딩을 통한 간단한 서비스를 구축해보는 프로젝트
Linux, VM, Wordpress, MariaDB
1인 프로젝트
[레포지터리 보기]
[후기글 보기]
파일을 읽고, 문자열을 한 줄씩 파싱을 통해 출력하거나 여러 파일을 읽더라도 요청에 따라 별도로 저장 및 출력이 가능한 메서드 구현 프로젝트
C
1인 프로젝트
[레포지터리 보기]
[후기글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