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

😜 Paul(Hansol Ryu)

Profile Image

Be Insightfull Engineer.
종합적 사고와 효율적 구조, 효과적인 창조를 지향하는 개발자 류한솔(Paul)입니다.
백엔드 개발자로서 저의 개발이 안정성과 확장성, 그리고 신속성을 갖출 수 있도록 고민하며,
AI 기술을 활용해 더 나은 자동화와 사용자 경험을 만드는 데 관심이 많습니다.
문제를 깊이 있게 바라보고, 끊임없이 탐색하고 소통하며, 끝까지 해결하려는 개발자입니다.

현재 집중하는 영역 🔍

  • AI를 활용한 데이터 파이프라이닝 및 리포팅 시스템 구축
  • 로컬 LLM 기반 정보 요약 및 콘텐츠 생성
  • NestJS 기반 웹 백엔드 서비스의 고도화
  • AWS 기반의 AI 서버 최적화

직무 경험 👷

  • 42 Seoul | Caddet(2021-11-08 ~ 2023.10.30)
    42 서울 캠퍼스, 기초 개발자 코스 이수(C ~ 웹 서비스 개발)
  • Project "Peer web Application" | Team Leader(2023.05 ~ 2024.02)
    개발자 커뮤니티, AI 기반 매칭 시스템을 포함한 프로젝트 매칭 플랫폼 개발 팀 리더로 활동
  • 잼잼 테라퓨틱스(Gemgem Therapeutics) | AI 백엔드 개발자(2024.06 ~ 재직 중)
    재직중, 장애 아동 치료를 위한 AR 및 AI 서비스 개발 및 최적화, 일반 서버 및 AI 서버 설계 및 운영, 국가 과제 수행

프로젝트 리스트 🗂️

Peer-Web Thumbnail
Gatsby 기술 블로그 스터디

기술블로그 스터디 프로젝트 및 웹 개발 언어와 정적 사이트 생성기 이해, 5인 프로젝트

[레포지터리 보기]
Peer-Web Thumbnail
웹.찍.먹

웹 프론트, 백엔드 기초를 모두 스터디 해보면서 데모를 구축해본다. 7인 프로젝트

[레포지터리 보기]
Peer-Web Thumbnail
42서울 학습 활동 내역

42서울 기초 학습 전체 내용, 개인 프로젝트 리스트

[레포지터리 보기]
Peer-Web Thumbnail
cub3D project

웹 프론트, 백엔드 기초를 모두 스터디 해보면서 데모를 구축해본다. 7인 프로젝트

[레포지터리 보기]
Minishell Thumbnail
Minishell

리눅스 환경 쉘 구현. 명령어 파싱 및 프로세스 제어 구조를 구현, 2인 프로젝트

[레포지터리 보기]
Webserv Thumbnail
Webserv

HTTP 기반 프록시 서버 구현. C++ 기반의 네트워크 프로그래밍 학습. 5인 프로젝트

[ver.1 보기] / [ver.2 보기]
Transcendance Thumbnail
Transcendance

NestJS 기반 실시간 핑퐁 게임을 포함한 웹서비스. OAuth2 인증 및 실시간 소켓 통신 설계 포함. 5인 프로젝트

[레포지터리 보기]
Peer-Web Thumbnail
Peer-Web Application

1500명 활동의 개발자 커뮤니티를 위한 AI 기반 매칭 시스템과 커뮤니티 기능을 갖춘 개발자, 디자이너, 기획자 매칭 PWA 플랫폼, 테크 리더 수행, 17인 프로젝트

[레포지터리 보기]
Gemgem400 Thumbnail
Gemgem 400

잼잼테라퓨틱스, AR 기반 장애 아동 재활치료 플랫폼. AI 서버 및 인프라 설계 전담.

Gemgem400 Thumbnail
Next Project

잼잼테라퓨틱스, 신규 프로젝트 백엔드 및 AI 서버 및 인프라 설계 전담.

AI News Thumbnail
AI IT 소식 자동화

로컬 LLM을 활용한 IT 뉴스 요약 및 Discord 기반 리뷰/퍼블리싱 자동화 시스템.

기술 스텍 🙆🏻‍♂️

탭 또는 드롭다운 메뉴를 선택해 주세요.
ALL 항목으로 전체 내용을 보실 수 있습니다.
LLM 기반 AI 도구를 활용한 프로그래밍 생산성 향상과,
LLM 및 ML 기반의 AI를 실제 어플리케이션 내 기능으로 접목 경험이 있습니다.
저수준 언어인 C로 기초를 다졌으며,
객체지향 언어(C++, Java, TypeScript)를 통해 SOLID 원칙과 클린 코드 작성에 대한 감각을 발전시켜왔습니다.
객체지향적 사고를 바탕으로 유지보수성확장성, 무엇보다도 스케쥴을 고려한 코드 작성에 익숙합니다.
모놀리스 서버 구현 뿐 아니라, NestJS 기반 MSA 아키텍처를 구축하였으며,
미들웨어, 인터셉터, 필터, 커스텀 파이프 등 NestJS의 라이프사이클 훅 전반을 활용한 구조적 설계 경험이 있습니다.
로거, 인증, 예외 처리 로직, 트랜잭션 관리 미들웨어 등을 모듈화하여 자체 래핑 구조로 구성한 경험이 있습니다.
리눅스 친화 개발자로 DevOps 를 위한 시스템 툴의 사용이 자유로우며,
시스템 차원의 모듈화와 그 밖에 서버 개발을 위한 도구들에 능숙합니다.
서버 개발을 위한 SqlNoSql의 사용이 가능하며,
ORM 을 활용한 개발 친화적 사용에 능숙합니다. 메모리 DB 사용에도 능숙 합니다.
서버의 고도화를 위한 메시지 큐, 스케쥴러 등을 실 프로덕트에 적용했으며,
이를 활용한 서비스 서버 성능 개선을 달성했습니다.
서버 관리를 위하여 필요한 툴들에 익숙하며, 이를 활용하여 서버 상태, 어드민 제어 등에 능숙합니다.
시스템 및 네트워크 상태를 관찰하고, 실제 서비스 성능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들을 활용할 수 있고,
이를 활용한 서버 비용 최적화 경험이 있습니다.
CI/CD 파이프라인 구축을 경험하였으며 GitHub ActionJenkins 모두 구축한 경험이 있습니다.
또한 자동화 도구를 활용하여 서비스 내에 필요한 기능의 효율화와 체계화를 담당하였습니다.
데이터의 크롤링, 가공 등 다양한 도구를 사용한 경험이 있습니다.
그 밖에도 개발을 위한 다양한 툴들에 대한 경험이 있으며, 개발의 속도, 신뢰, 안정성을 위하여 끊임없이 도전 중입니다.
전문 분야는 아니지만, 그럼에도 관심을 통해 저변을 넓혀가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