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ython AI 개발 환경 구축: 로컬(uv) vs. 클라우드(Colab)
1. 개요
이 문서는 파이썬 AI 개발을 위한 두 가지 주요 환경 구축 방법을 정리한 것이다. 첫 번째는 uv
를 활용해 개인 PC에 구축하는 로컬(Local) 환경의 핵심 도구인 JupyterLab이고, 두 번째는 별도 설치가 필요 없는 클라우드(Cloud) 환경인 Google Colab이다. 각 환경의 개념과 특징을 이해하여 상황에 맞는 최적의 도구를 선택하고 활용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2. 🚀 로컬 개발 환경 (uv
+ JupyterLab)
가. JupyterLab 이란?
JupyterLab은 웹 브라우저에서 실행되는 **통합 개발 환경(IDE)**이다. 단순히 코드를 작성하고 실행하는 노트북(ipynb
) 기능을 넘어, 파일 탐색기, 터미널, 텍스트 편집기 등 데이터 과학 작업에 필요한 여러 도구를 하나의 작업 공간에 통합하여 제공한다.
쉽게 비유하자면, JupyterLab은 데이터 과학자를 위한 **‘디지털 작업실’**과 같다. 작업실 안에서 코드가 담긴 노트북, 각종 데이터 파일, 명령어 창을 한눈에 펼쳐놓고 유기적으로 오가며 전체 프로젝트를 관리할 수 있는 유연한 공간이다.
나. 로컬 환경 도구로 uv
를 선택한 이유
전통적인 conda
나 pip
+venv
조합 대신 uv
를 선택한 이유는 속도와 간결함을 통해 현대적이고 효율적인 개발 환경을 구성하기 위함이다.
uv
의 핵심 장점:- 압도적인 속도:
uv
는 Rust로 작성되어 기존pip
이나conda
대비 수십 배에서 수백 배 빠른 패키지 설치 및 의존성 해결 속도를 보여준다. 기다리는 시간을 극적으로 줄여준다. - 통합된 도구: 가상 환경 생성(
venv
)과 패키지 설치(pip
) 기능을uv
명령어 하나로 통합하여 관리의 복잡성을 낮춘다. - 간결함과 표준: 파이썬 표준 패키지 인덱스(PyPI)를 사용하면서도 미니멀하고 빠른 환경 구축을 가능하게 한다.
- 압도적인 속도:
다. 환경 구축 절차 (uv
활용)
- Python 3.9 설치 (사전 조건)
Homebrew를 통해 특정 버전의 파이썬을 설치한다.
brew install python@3.9
uv
가상 환경 설정 프로젝트 폴더를 생성 후,uv
로 Python 3.9 기반의 가상 환경(.venv
)을 만든다.mkdir my-local-project && cd my-local-project uv venv --python 3.9 source .venv/bin/activate
- JupyterLab 설치 및 실행
활성화된 가상 환경 내에서
uv pip
으로 JupyterLab을 설치하고 실행한다.uv pip install jupyterlab jupyter lab
라. 주요 단축키
Jupyter의 작업 효율은 명령 모드와 입력 모드의 이해에서 시작된다.
- 명령 모드 (Command Mode): 셀 테두리가 파란색. 셀 자체를 하나의 블록 단위로 다룬다. (
Esc
로 진입) - 입력 모드 (Edit Mode): 셀 테두리가 초록색. 셀 내부에 코드를 입력하고 수정한다. (
Enter
로 진입)
기능 | 단축키 (Win/Linux: Ctrl) | 설명 |
---|---|---|
(필수) 셀 실행 | Shift + Enter |
현재 셀 실행 후, 아래 셀로 이동한다. |
Cmd + Enter |
현재 셀 실행 후, 커서는 그대로 유지된다. | |
셀 추가 | A (명령 모드) |
현재 셀 위에 새 셀을 추가한다. |
B (명령 모드) |
현재 셀 아래에 새 셀을 추가한다. | |
셀 관리 | D, D (명령 모드) |
현재 셀을 삭제한다. (D를 두 번 누름) |
X / C / V (명령 모드) |
셀을 잘라내기 / 복사 / 붙여넣기 한다. | |
셀 타입 변경 | M (명령 모드) |
셀을 마크다운 타입으로 변경한다. |
Y (명령 모드) |
셀을 코드 타입으로 변경한다. | |
코드 편집 | Cmd + / (입력 모드) |
선택한 코드 라인을 주석 처리/해제한다. |
Shift + Tab (입력 모드) |
함수 괄호 안에서 함수의 설명(Docstring)을 본다. |
3. ☁️ 클라우드 개발 환경 (Google Colaboratory)
가. Google Colab 이란?
**Google Colaboratory(Colab)**는 구글이 제공하는 클라우드 기반의 무료 Jupyter Notebook 환경이다. 모든 연산이 구글의 서버에서 이루어지므로 별도의 설치 과정 없이 웹 브라우저만으로 강력한 개발 환경을 이용할 수 있다.
쉽게 비유하자면, Colab은 **‘구글이 제공하는 고사양 컴퓨터를 인터넷을 통해 무료로 빌려 쓰는 것’**과 같다. 내 컴퓨터 사양과 무관하게 딥러닝 모델을 학습시킬 수 있는 것이 최대 장점이다.
- 핵심 장점:
- 설치 불필요 (Zero Setup): 웹 브라우저와 구글 계정만 있으면 즉시 사용 가능하다.
- 무료 GPU/TPU 제공: 딥러닝 등 고사양 연산에 필수적인 하드웨어를 무료로 제공한다.
- 쉬운 공유와 협업: 링크 하나로 노트북을 공유하고 실시간으로 함께 편집할 수 있다.
나. 주요 단축키
Colab은 Jupyter와 많은 단축키를 공유하지만, Ctrl + M
(macOS: Cmd + M
) 조합을 사용하는 고유한 단축키가 많다.
기능 | 단축키 (Win: Ctrl, Mac: Cmd) | 설명 |
---|---|---|
(필수) 셀 실행 | Shift + Enter / Cmd + Enter |
Jupyter와 동일하다. |
셀 추가 | Cmd + M, A |
현재 셀 위에 새 셀을 추가한다. |
Cmd + M, B |
현재 셀 아래에 새 셀을 추가한다. | |
셀 삭제 | Cmd + M, D |
현재 셀을 삭제한다. |
셀 타입 변경 | Cmd + M, M |
셀을 텍스트(마크다운) 타입으로 변경한다. |
Cmd + M, Y |
셀을 코드 타입으로 변경한다. | |
명령어 팔레트 | Cmd + Shift + P |
모든 기능을 검색하고 실행할 수 있는 창을 연다. |
4. 💡 로컬 vs. 클라우드: 언제 무엇을 쓸까?
구분 | 로컬 환경 (uv + JupyterLab) |
클라우드 환경 (Google Colab) |
---|---|---|
초기 설정 | 필요 (Python, uv, 라이브러리 설치) | 불필요 (웹 브라우저로 접속하면 끝) |
성능 | 내 PC 사양에 의존 | 무료 GPU/TPU 제공 (고성능) |
인터넷 연결 | 오프라인 작업 가능 | 필수 |
파일 관리 | 자유롭고 빠름 (로컬 파일 시스템) | 구글 드라이브 연동 또는 업로드/다운로드 필요 |
적합한 작업 | - 인터넷이 없는 환경에서의 작업<br>- 맞춤형 환경 구축<br>- 가벼운 데이터 분석 및 스크립팅 | - 딥러닝 모델 학습<br>- 빠른 프로토타이핑<br>- 팀원과의 코드 공유 및 협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