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te ) til - 20240319
실패율
실패율
슈퍼 게임 개발자 오렐리는 큰 고민에 빠졌다. 그녀가 만든 프랜즈 오천성이 대성공을 거뒀지만, 요즘 신규 사용자의 수가 급감한 것이다. 원인은 신규 사용자와 기존 사용자 사이에 스테이지 차이가 너무 큰 것이 문제였다.
이 문제를 어떻게 할까 고민 한 그녀는 동적으로 게임 시간을 늘려서 난이도를 조절하기로 했다. 역시 슈퍼 개발자라 대부분의 로직은 쉽게 구현했지만, 실패율을 구하는 부분에서 위기에 빠지고 말았다. 오렐리를 위해 실패율을 구하는 코드를 완성하라.
- 실패율은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 스테이지에 도달했으나 아직 클리어하지 못한 플레이어의 수 / 스테이지에 도달한 플레이어 수
전체 스테이지의 개수 N, 게임을 이용하는 사용자가 현재 멈춰있는 스테이지의 번호가 담긴 배열 stages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실패율이 높은 스테이지부터 내림차순으로 스테이지의 번호가 담겨있는 배열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하라.
제한사항
- 스테이지의 개수 N은
1
이상500
이하의 자연수이다. - stages의 길이는
1
이상200,000
이하이다. - stages에는
1
이상N + 1
이하의 자연수가 담겨있다.- 각 자연수는 사용자가 현재 도전 중인 스테이지의 번호를 나타낸다.
- 단,
N + 1
은 마지막 스테이지(N 번째 스테이지) 까지 클리어 한 사용자를 나타낸다.
- 만약 실패율이 같은 스테이지가 있다면 작은 번호의 스테이지가 먼저 오도록 하면 된다.
- 스테이지에 도달한 유저가 없는 경우 해당 스테이지의 실패율은
0
으로 정의한다.
입출력 예
N | stages | result |
---|---|---|
5 | [2, 1, 2, 6, 2, 4, 3, 3] | [3,4,2,1,5] |
4 | [4,4,4,4,4] | [4,1,2,3] |
입출력 예 설명
입출력 예 #1
1번 스테이지에는 총 8명의 사용자가 도전했으며, 이 중 1명의 사용자가 아직 클리어하지 못했다. 따라서 1번 스테이지의 실패율은 다음과 같다.
- 1 번 스테이지 실패율 : 1/8
2번 스테이지에는 총 7명의 사용자가 도전했으며, 이 중 3명의 사용자가 아직 클리어하지 못했다. 따라서 2번 스테이지의 실패율은 다음과 같다.
- 2 번 스테이지 실패율 : 3/7
마찬가지로 나머지 스테이지의 실패율은 다음과 같다.
- 3 번 스테이지 실패율 : 2/4
- 4번 스테이지 실패율 : 1/2
- 5번 스테이지 실패율 : 0/1
각 스테이지의 번호를 실패율의 내림차순으로 정렬하면 다음과 같다.
- [3,4,2,1,5]
입출력 예 #2
모든 사용자가 마지막 스테이지에 있으므로 4번 스테이지의 실패율은 1이며 나머지 스테이지의 실패율은 0이다.
- [4,1,2,3]
# 내가 푼 것
def solution(N, stages):
answer = [0] * N
# 동적으로 게임 시간 늘려서 난이도 조절
# 실패율
# 아직 클리어하지 못한 플레이어의 수 / 스테이지 도달한 플레이어 수
# 스테이지 개수 N, 사용자가 현재 멈춘 스테이지 번호가 담긴 긴 배열 stages
# 실패율이 높은 스테이지 부터 내림 차순으로 스테이지 번호가 담긴 배열 리턴
# stages를 통해 받은 값 중에, 특정 스테이지 기준으로, 그것보다 아직 클리어하지 못한 사람 전체 / 그 단계를 클리어한 사람을 나누는 과정이 있어야함.
# 예를 들어 1 단계 실패율은 1단계 미클리어자 / 나머지 도달한자
# 2단계의 경우 1, 2단계 도전자 / 나머지 도달한자
# 그렇다면 거꾸로 하면 어떨까? N을 받고 N+1 을 찾아서 정리를 한 뒤,
# 그다음 N-1 을 찾는다면, 이전에 찾은 값을 기준으로 진행하면 된다.
playerPos = [0] * (N + 1)
failRateList = dict()
totalMan = len(stages)
accumulatedMan = 0
for i in range(len(stages)):
playerPos[stages[i] - 1] += 1
for i in range(N):
notClear = playerPos[i]
cleared = totalMan - accumulatedMan
accumulatedMan += notClear
if notClear != 0 and cleared != 0:
failerRate = notClear / cleared
else:
failerRate = 0.00
failRateList[i + 1] = failerRate
for i in range(N):
key = max(failRateList, key=failRateList.get)
del failRateList[key]
answer[i] = key
return answer
# 다른 사람 푼 것
def solution(N, stages):
result = {}
denominator = len(stages)
for stage in range(1, N+1):
if denominator != 0:
count = stages.count(stage) # 문자열 내부에서도 count 로 정수를 집어 넣었지만 아무 문제없이 형변환 된다.
result[stage] = count / denominator # 연산 처리, 실패율을 구한다.
denominator -= count # 해당 인원은 그 이상 진행 못했으니 제거
else:
result[stage] = 0
return sorted(result, key=lambda x : result[x], reverse=True) # 사전형은 sorted 를 하고, 이때 값은 key로, 람다식을 활용하여 x는 result의 값을 지칭한다.
다트 게임
다트 게임
카카오톡에 뜬 네 번째 별! 심심할 땐? 카카오톡 게임별~
카카오톡 게임별의 하반기 신규 서비스로 다트 게임을 출시하기로 했다. 다트 게임은 다트판에 다트를 세 차례 던져 그 점수의 합계로 실력을 겨루는 게임으로, 모두가 간단히 즐길 수 있다.
갓 입사한 무지는 코딩 실력을 인정받아 게임의 핵심 부분인 점수 계산 로직을 맡게 되었다. 다트 게임의 점수 계산 로직은 아래와 같다.
- 다트 게임은 총 3번의 기회로 구성된다.
- 각 기회마다 얻을 수 있는 점수는 0점에서 10점까지이다.
- 점수와 함께 Single(
S
), Double(D
), Triple(T
) 영역이 존재하고 각 영역 당첨 시 점수에서 1제곱, 2제곱, 3제곱 (점수1 , 점수2 , 점수3 )으로 계산된다. - 옵션으로 스타상(
*
) , 아차상(#
)이 존재하며 스타상(*
) 당첨 시 해당 점수와 바로 전에 얻은 점수를 각 2배로 만든다. 아차상(#
) 당첨 시 해당 점수는 마이너스된다. - 스타상(
*
)은 첫 번째 기회에서도 나올 수 있다. 이 경우 첫 번째 스타상(*
)의 점수만 2배가 된다. (예제 4번 참고) - 스타상(
*
)의 효과는 다른 스타상(*
)의 효과와 중첩될 수 있다. 이 경우 중첩된 스타상(*
) 점수는 4배가 된다. (예제 4번 참고) - 스타상(
*
)의 효과는 아차상(#
)의 효과와 중첩될 수 있다. 이 경우 중첩된 아차상(#
)의 점수는 -2배가 된다. (예제 5번 참고) - Single(
S
), Double(D
), Triple(T
)은 점수마다 하나씩 존재한다. - 스타상(
*
), 아차상(#
)은 점수마다 둘 중 하나만 존재할 수 있으며, 존재하지 않을 수도 있다.
0~10의 정수와 문자 S, D, T, *, #로 구성된 문자열이 입력될 시 총점수를 반환하는 함수를 작성하라.
입력 형식
“점수|보너스|[옵션]“으로 이루어진 문자열 3세트.
예) 1S2D*3T
- 점수는 0에서 10 사이의 정수이다.
- 보너스는 S, D, T 중 하나이다.
- 옵선은 *이나 # 중 하나이며, 없을 수도 있다.
출력 형식
3번의 기회에서 얻은 점수 합계에 해당하는 정수값을 출력한다.
예) 37
입출력 예제
예제 | dartResult | answer | 설명 |
---|---|---|---|
1 | 1S2D*3T |
37 | 11 * 2 + 22 * 2 + 33 |
2 | 1D2S#10S |
9 | 12 + 21 * (-1) + 101 |
3 | 1D2S0T |
3 | 12 + 21 + 03 |
4 | 1S*2T*3S |
23 | 11 * 2 * 2 + 23 * 2 + 31 |
5 | 1D#2S*3S |
5 | 12 * (-1) * 2 + 21 * 2 + 31 |
6 | 1T2D3D# |
-4 | 13 + 22 + 32 * (-1) |
7 | 1D2S3T* |
59 | 12 + 21 * 2 + 33 * 2 |
```python | |||
# 내가 푼 방법 | |||
def solution(dartResult): |
answer = 0
score = []
bonus = []
option = []
# 다트 게임 점수 합계 로직 작성
# 3회 기회
# 각 기회마다 0 ~ 10 점
# 점수와 함께 S, D, T로 1,2,3 제곱 되는 경우가 발생함
# 옵션으로 *, # -> * 당첨시 해당 점수 + 이전 점수 각 2배, # 당첨시 해당 점수 음수화
# * 는 첫 번째 기회에도 나올 수 있음. 이경우 첫 번째만 두배
# * 는 다른 *와 만나면 효과 중첩
# *와 # 도 중첩 가능, 단 각 상마다 하나만 존재하지 두개가 병행으로 존재하진 않음
for i in range(len(dartResult)):
if i + 1 < len(dartResult) and dartResult[i].isdigit() and dartResult[i+1].isdigit():
# print("점수 : ", dartResult[i:i+2])
score.append(int(dartResult[i:i+2]))
elif dartResult[i].isdigit() and not dartResult[i - 1].isdigit():
# print("점수 : ", dartResult[i])
score.append(int(dartResult[i]))
elif dartResult[i].isalpha():
# print("보너스 : ", dartResult[i])
if dartResult[i] == 'S':
bonus.append(1)
elif dartResult[i] == 'D':
bonus.append(2)
else:
bonus.append(3)
if i + 1 < len(dartResult) and dartResult[i + 1].isdigit():
option.append("")
elif not dartResult[i].isalpha() and not dartResult[i].isdigit():
# print("옵션 : ", dartResult[i])
option.append(dartResult[i])
for i in range(3):
score[i] **= bonus[i]
if i < len(option) and option[i] == '*':
score[i] *= 2
if i - 1 >= 0:
score[i - 1] *= 2
elif i < len(option) and option[i] == '#':
score[i] *= -1
# print("score : ", score)
# print("bonus : ",bonus)
# print("option : ",option)
answer = sum(score)
return answer
```python
# 남이 푼 방법
import re
def solution(dartResult):
bonus = {'S' : 1, 'D' : 2, 'T' : 3}
option = {'' : 1, '*' : 2, '#' : -1}
p = re.compile('(\d+)([SDT])([*#]?)')
dart = p.findall(dartResult)
for i in range(len(dart)):
if dart[i][2] == '*' and i > 0:
dart[i-1] *= 2
dart[i] = int(dart[i][0]) ** bonus[dart[i][1]] * option[dart[i][2]]
answer = sum(dart)
return answer